무더기하한가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주가조작의 수단, 통정매매는 무엇인가 최근 무더기 하한가 사태를 불러온 배경에는 특정 주식의 주가를 인위적으로 끌어올린 주가조작 행위가 있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주가조작을 위해 사용한 방법이 통정매매라고 합니다. 통정매매란, 주식시장에서 불법적으로 주가를 조작하기 위해 세력끼리 매매를 주고받으며 다른 시장 참여자들의 매수세를 유인하는 기법입니다. 이 과정에서 스프레드 거래와 프로그램 매매, 공매도 등 각종 금융 기법을 동원하기도 합니다. 또한, 장중에 미리 2인 또는 다수의 사람이 상호간 주식을 주거니 받거니 하며 거래하는 행위를 말하기도 합니다. 즉, 주식매매 당사자가 부당이득을 취득할 목적으로 종목, 물량, 가격 등을 사전에 담합, 지속적인 거래를 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통정매매와 유사한 수법 중에는 가장매매가 있습니다. 가장매매란, 동.. 주식시장 무더기 하한가의 원인이 차액거래계약(CFD)? 최근 주식시장에서 발생한 무더기 하한가 사태를 두고 증권가에서는 차액거래계약(Contract for Difference, CFD)을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했습니다. 차액거래계약(CFD)은 파생상품 거래에 사용되는 금융계약으로, 시가와 종가 사이의 차액을 현금으로 결제하는 방식입니다. CFD를 통해 트레이더는 증권 및 파생상품의 가격 변동을 거래할 수 있으며, 투자자는 기초자산 또는 증권의 가격 상승 또는 하락 여부에 대한 가격 베팅을 할 수 있습니다. 트레이더가 기초자산을 보유해야 하는 주식, 채권 및 기타 금융상품과 달리 CFD는 실물 상품이나 유가증권을 인도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CFD는 레버리지를 이용해 매매 비용이 많이 드는 자산을 거래할 수 있는 데이 트레이더에게 매력적입니다. 그러나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