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213)
사회 (51)
소비 (68)
경제 (11)
교육 (0)
문화 (2)
(4)
단상 (43)
여행 (2)
광고 이야기 (7)
언론기고 등 (23)
테니스 이야기 (2)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2010. 6. 4. 19:45

1. 소동의 전말

소동은 김철균(@saunakim) 청와대 뉴미디어 홍보비서관이 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소셜 비즈니스 인사이트2010`에 참여해 발언한 내용을 이데일리 함정선(@maymiracle) 기자가 [김철균 靑비서관 "트위터, 국내법인 설립돼야"]라는 제목의 기사로 쓰면서 시작됐다.

기사(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DC13&newsid=02007366592998112&DCD=A00202&OutLnkChk=Y)에는 다음과 같은 김비서관의 발언이 인용돼 있었다.

김 비서관은 "트위터와 페이스북이 많이 사용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우리 플랫폼이 아니기 때문에 몇 명이 사용하는지, 국민들이 어떤 얘기를 하는지 알 수 없어 우려된다"고 밝혔다.

또 김 비서관은 "트위터를 사용하면서 섬뜩할 때가 있다"며 "누구라도 마음에 안 드는 계정을 삭제하기 위해 노력할 수 있어 트위터 정책이 투명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비서관은 "소셜미디어는 그 나라 문화를 반영해야 한다"며 "빨리 국내 플랫폼들이 좋아져 외국 서비스를 대신하고, 트위터와 페이스북의 국내 법인이 세워져야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본 한 트위터리안이 정부가 트위터를 통제하기 위해 트위터 국내 법인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이를 비난하는 트윗을 올렸고 이 기사는 수많은 RT를 통해 퍼져나갔다.

이 기사가 트위터를 발칵 뒤집어 놓는 수준에 이르자, 프레시안 이대희 기자는 최초 함기자의 기사를 인용해, 바로 전날 있었던 지방 선거에서 큰 위력을 발휘한 트위터에 대해 청와대가 우려를 표했다는 내용의 기사(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60100603143559)를 작성했다.

이대희 기자는 이 기사에서 “보는 이의 입장에 따라서는 청와대가 트위터의 위력에 큰 우려를 갖고 있고, 이를 통제하지 못한다는 초조함을 드러낸 것으로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또 국내 법인화를 거론할 정도로 트위터와의 공식/비공식 접촉 필요성도 느끼고 있음을 짐작케 한다.”며 청와대가 트위터 국내 법인화를 통해 트위터를 통제하려 한다고 ‘추측’했다.

상황이 더욱 악화된 후에야, 자신의 발언이 기사화돼 트위터가 벌집이 됐음을 알게 된 김철균 비서관은 자신의 발언을 왜곡한 기사라며 적극적인 해명에 나섰다.

당시 김 비서관의 트윗 “아침에 코엑스 좌담회에 갔다오니 트위터에 난리가 났네요..제가 트위터의 위력이 무서워 규제를 위해 트위터 한국법인을 반드시 설치해야한다고 주장했다는....이기사 쓴 기자님도 그자리에 안계신분이던데 혹시 그자리에서 제이야기 직접들으신분 계세요”

다행히 당시 김 비서관의 발언을 현장에서 들었던 이찬진(@chanjin) 대표를 비롯해, 당시 사회를 맡았던 한상기(@steve3034) 교수 등 신뢰할 만한 트위터리안들이 김 비서관의 발언에 트위터를 통제하겠다는 의도는 전혀 없었다며 김 비서관의 해명에 힘을 실어줬다.

점차 왜곡 기사에 성급하게 반응한 트위터리안들이 사과의 맨션을 김 비서관에게 보내기 시작했다. 이때 발끈한 것이 최초 기사 작성자였던 함정선 기자였다.

그는 자신의 기사에 인용된 김 비서관의 발언에 잘못된 곳이 없다며 “오전에 제가 쓴 김철균 비서관 "트위터 국내 법인 설립돼야" 기사는 김 비서관의 토론회 멘트를 듣고 쓴 것입니다. 내용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선거나 정치에 대한 연결은 전혀 하지 않았습니다.”라고 트윗을 통해 반박했다.

특히 김 비서관이 “이기사 쓴 기자님도 그자리에 안계신분이던데”라고 한 발언에 대해서는 블로그 포스트(http://storynfactory.tistory.com/entry/청와대-그리고-트위터)를 통해 “나는 해당 포럼의 인터넷 생중계를 시청했다.”고 반박했다.

함정선 기자의 반발에 김 비서관은 한발 물러섰다. 자신이 문제 삼은 기사는 함 기자의 기사가 아니라, 두 번째 나온 이대희 기자의 기사라고 해명했다.

김 비서관 트윗 : 제가 직접 취재 없이 과장된 기사를 썼다고 생각하는 기사는 이데일리 함정선기자의 글이 아니고 프레시안의 기사임을 밝힙니다. RT @maymiracle: http://bit.ly/dyvAqZ

그러자 프레시안 이대희 기자가 남의 기사를 가져다 추측성 기사를 써서 사실을 왜곡한 것이 됐고, 김 비서관은 정부 여권 인사답지 않게 ‘통하는’ 트위터리안의 명성을 이어가게 됐다.

이번 소동으로 김 비서관은 하루만에 팔뤄가 몇백명이 늘었다고 한다. 고생은 했겠지만 김비서관의 트윗을 통한 적절한 대응으로 오해를 불식시키며 사태는 이렇게 진정되는 듯하다.


2.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들


그러나 나는 이번 소동이 단순히 해프닝으로 끝나지 않기를 바란다.
짚고 넘어가야 할 점들이 너무나 많다.

첫째, 트위터랸들이 발끈한 건, 김비서관의 주장처럼 프레시안 기사 때문이 아니다.



최초 함정선 기자의 기사가 떴을 때, 이미 트위터는 술렁이기 시작했다. 왜일까? 김비서관이 함정선 기자에게 인정한 것처럼, 함 기자의 기사에는 문제가 없었다면, 왜 트위터랸들은 함 기자의 기사를 보고 성을 낸 걸까?

그것은 트위터랸들의 인식 속에 “정부는 소통의 공간을 두려워하고 통제하려 한다”는 명제가 강하게 성립돼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 정부는 포털에 사용자 개인정보를 조회해왔고, 검찰은 미네르바를 기소했으며, 유인촌은 네티즌을 교육 차원에서 고소하는가 하면, 총리는 불과 며칠 전 인터넷이 유해하다고 발언했고, 선거 바로 전 언론 기사에는 북한이 대한민국 주민의 명의를 도용해 인터넷에서 대대적인 여론 조작과 선동 행위를 하고 있다며 인터넷의 신뢰성을 문제 삼지 않았던가.

신문과 방송을 장악한 정부가, 진실이 아직도 자유롭게 유포되는 인터넷을 눈엣가시처럼 여긴다는 사실은, 의식 있는 트위터랸들에게는 확인된 진실이나 마찬가지 아닌가.

김주하(@kimjuha) 앵커의 트윗: 국내서비스는 감시당하는 느낌이라 싫습니다~^^ RT @thorkhan: @kimjuha님께서는 미투데이는 안하시나요? 미투데이에도 좋은 소식 많이 알려주시면 좋을텐데... ^^

고재열(@dogsul) 기자 트윗 : 이명박 정부 들어 저는 모든 인터넷 서비스 기반을 메일(구글) 소셜미디어(트위터/페이스북) 스트리밍(유튜브) 등 외국서비스로 바꾸고 있습니다. 이유는 두 가지입니다. 제 정보가 털리지 않고 계정을 MB정부가 없앨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함 기자의 "트위터 국내 법인 설립돼야" 기사를 본 트위터랸들은 ‘국내 법인=통제 수단’이라는 등식을 연상하게 된 것이다.

김 비서관은 뉴미디어 홍보비서관이라는 직책에 알맞은 고민을 할 때가 온 듯하다. 김 비서관의 진의를 묻는 ‘의심 많은’ 트위터랸들의 질문에 김 비서관은 거듭 정부는 통제할 의도가 없다고 밝혔다.

김 비서관 트윗 : 너무 너무 지당하신 말씀입니다. RT @korjaeho: @saunakim 이번 해프닝(이라면)으로 정부도 국민을 억압과 통제의 대상으로 보지 않게 되길 바랍니다.

김 비서관은 개인이 아닌 공직자다. 김 비서관의 답변을 수많은 트위터랸들이, 김 비서관의 트윗을 통해서만이 아니라, 실제 우리 정부의 행동을 통해 느낄 수 있게 되길 바란다.

두 번째, 멘트 짜깁기 기사의 문제점이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함정선 기자가 최초의 기사를 썼을 때, 김 비서관의 발언을 통해 ‘통제하려는 정부’의 이미지를 염두에 둔 것이라고 생각한다.

김 비서관이 그날 했을 발언 중에 하필 고른 멘트들이 그런 뉘앙스를 풍겼으며, 제목도 역시 그런 의도를 다분히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그날 행사에 참석했던 사람들은 하나같이 ‘그런 의도’는 느낄 수 없었다고 입을 모았다. 함 기자는 자신은 실제로 김 비서관이 했던 발언들을 기사화했을 뿐이며, 그것을 통해 판단하는 것은 독자의 몫이라고 했다. 그러나 이건 미디어 이론을 아는 사람이라면, 기자의 입에서 나온 말이라고 하면 코웃음을 칠만한 주장이다. 편집에는 의도가 없는 것인가?

전체 맥락에서 특정 발언을 모아 하나의 기사를 만드는 것은, 결국 기자의 주관과 판단이 개입되는 과정이며, 독자가 무엇을 느끼게 된다면 그것은 분명 기자가 의도한 것과 일치하거나 비슷하기 마련이다.

순간 떠오로는 최근 기사 하나. 조선일보 촛불 기사. 수많은 촛불 관련 인사들이 인터뷰이로서 조선일보 기자를 만났다가 전국에 병신인증을 하고 말았다. 인터뷰이들이 조선일보가 내 발언을 왜곡했다고 비난할 때, 조선일보는 뭐라고 대꾸했나? 전혀 하지도 않은 말을 쓴 것은 아니다(알아보니 전혀 하지도 않은 말도 썼지만...)였다.

조선일보가 그딴 수작을 부려 촛불 기사를 써댔을 때, 정부는 기뻤겠지만, 김 비서관 소동을 보자. 원칙과 규칙이 없는 사회에선 어제의 가해자가 곧 오늘은 희생자가 될 수도 있다. 정부는 앞으로 언론을 이용하기 전에, 언론의 본질적인 책무가 무엇인지 상기하길 바란다.

셋째, ‘트위터 국내 법인’ 문제다.

소동의 와중에서 트위터랸들은 정작 핵심 키워드를 놓쳐 버렸다. 김 비서관이 어떤 의도를 갖고 그런 말을 했느냐를 떠나 트위터 국내 법인이 필요한가에 대해 생각해봐야 한다.

김 비서관은 “국내 법인이 없어 고객이 피해를 입어도 하소연할 데가 없다는 의미”로 국내 법인의 필요성을 제기했다고 말한다. 옥션은 천만명의 회원 개인 정보를 유출했지만 그 누구에게도 피해를 배상하지 않았다. 옥션은 국내 법인이 없어서 고객이 피해를 하소연하지 못했나?

어떤 순수한 의도에서 ‘국내 법인’을 제기했는지 모르겠지만, 나는 그 순수한 의도를 의심한다. 네이버, 다음 등 포털을 비롯한 국내 인터넷 서비스 중에서 트위터만큼 자유롭게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곳이 어디 있을까. 정부의 인터넷 여론 통제로 인해 다음 아고라도 결국 그 힘을 잃고 말지 않았나. 구글의 유투브에 본인확인제(인터넷 실명제)를 요구했다가 국제적 망신을 자초한 정부가 아니던가.

극도로 통제된 사회에서 겨우 트위터라는 광장을 찾아낸 시민들에게, 고객 피해를 핑계로 ‘국내 법인’을 주장한다는 것은 납득할 수 없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