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213)
사회 (51)
소비 (68)
경제 (11)
교육 (0)
문화 (2)
(4)
단상 (43)
여행 (2)
광고 이야기 (7)
언론기고 등 (23)
테니스 이야기 (2)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2022. 9. 26. 12:33
소비자중심경영(CCM) 도입한 기업이 ESG 수준도 높다
ESG 중요성 강조되는 시대에 CCM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
[부산소비자신문, 2022.2.25.]
 
기업 경영 및 경제 분야에서 최근 가장 큰 화두라면 단연 'ESG'를 꼽을 수 있다. ESG는 기업의 비재무 정보 중에서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의미한다. 지속가능 경영 전략의 일환으로 비재무적인 ESG 지표가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개념에서 출발했다. 기존에는 기업의 장부, 즉 재무제표 상의 지표만 보고 투자했다면, 이제는 재무제표에는 나타나지 않는 ESG 요소를 투자 의사결정 시 중요한 평가 기준으로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과거의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나 CSV(공유 가치 창출)와 크게 다를 바 없다며 과대 평가를 경계하기도 한다. 그러나 기존 CSR과 CSV가 선행이나 사회적 공헌 활동을 통해 기업의 평판을 높이는 마케팅 측면에서 활용되어 기업의 자발성에만 기댔다는 한계가 있었다면, ESG는 기업 경영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투자가치를 측정하는 요소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기업의 자발적 변화를 요구하는 사회적 담론을 넘어 투자 자금 유치 등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 경영의 충족 요건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 기업이 이윤 추구 활동 외에도 환경 오염이나 사회 이슈 등에 대한 책임감을 갖고 사회적 의무를 수행하도록 요구
* Creating Shared Value : 기업이 수익을 창출한 후 이익을 환원하는 차원을 넘어 기업의 이익 추구 활동 자체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도록 요구
 
유럽에서는 이미 2006년에 UN 책임투자원칙(Principle for Responsible Investment: PRI)이 설립되어 기업에 대한 투자 결정시 ESG 이슈를 반영하도록 요구하기 시작했다. 2021년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PRI 서명 기관은 3,826개로 증가하였다. 국내 연기금 및 주요 금융 기관들도 관련 평가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연관 투자상품을 출시하고 있다. ESG가 기업의 투자가치를 평가하는 지표로서 구체성과 표준성을 갖춘 국제 규범으로 작용함에 따라 세계 각 나라들은 이를 위한 규율 체계를 마련하고 법적 책임을 부여하는 작업을 속속 진행 중이다. 한국무역협회가 지난해 4.27. 발표한 'EU의 ESG 관련 입법 동향과 시사점'에 따르면, 유럽연합이 ESG 관련 법안을 연이어 도입하고 있어 ESG 경영이 해외 투자 유치와 매출 증대를 위한 필수조건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처럼 ESG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기업 입장에서는 어려운 점이 적지 않다. 특히 ESG 도입이 기업 경영에 부담은 적지 않은 반면 ESG 지수와 재무적 성과 사이의 상관성이 명확히 실증되지 않은 점도 장애 요인이다. 또한 해외 투자나 연기금 투자를 유치할 필요가 없는 기업이라면 더욱 관심은 낮을 수밖에 없다. 기업 간 ESG 수준의 양극화가 우려되는 이유다.
 
이런 측면에서, 소비자중심경영(CCM) 인증기업의 ESG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지난해 12월 한국소비자원의 조사 결과를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소비자중심경영은 기업이 수행하는 모든 활동을 소비자 관점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구성하고 관련 경영활동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는지를 평가하여 인증하는 제도이다. 한국소비자원이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기업별 ESG 등급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CCM 인증기업의 ESG 수준은 인증 전 3년 평균점수에 비해 인증 후 3년 평균점수가 4.37%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CCM 미인증 기업은 기준연도 전ㆍ후의 ESG 평균 점수가 오히려 낮아져, 기준연도 이후 CCM 인증기업과 미인증기업의 ESG 수준 차이는 더욱 커졌다.
 
특히 CCM 인증기업은 ESG 세부 영역 중에서도 사회 부문의 평균점수가 인증 전ㆍ후로 8.72%나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인증기업의 증가율 3.98%의 두배 이상 향상된 수치로, ESG의 사회 부문 성과와 CCM 인증 간에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ESG에 관심이 있는 기업이라면 소비자중심경영 도입에도 관심을 가져볼 필요가 있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