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213)
사회 (51)
소비 (68)
경제 (11)
교육 (0)
문화 (2)
(4)
단상 (43)
여행 (2)
광고 이야기 (7)
언론기고 등 (23)
테니스 이야기 (2)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2011. 10. 17. 10:10


이동통신사들이 속속 요금 인하 정책을 발표하고 나섰다. 주요 내용은 기본료 1천원 인하와 매월 50건의 무료 문자메시지 제공, 소비자 사용 패턴에 따른 맞춤형 요금제 출시다. 실제 소비자에게 미치는 효과는 어떤지 살펴보았다.
■글/이후정<한국소비자원 홍보팀>

이동통신 3사 중에서는 SK텔레콤(SKT)이 가장 먼저 요금을 인하했다. SKT는 8월 16일 소비자가 자신의 통화 패턴에 맞게 음성, 데이터, 문자메시지 요금제를 선택해 조합할 수 있는 ‘맞춤형 요금제’를 출시했다.

기존 스마트폰 요금제는 음성, 데이터, 문자가 하나의 패키지로 묶여 있다. 음성 통화나 데이터 통신과 같은 특정 서비스를 다른 서비스보다 많이 사용하는 소비자의 경우 한쪽은 남는데 한쪽은 모자라는 현상이 발생해 불만이 많았다.

한 달 뒤인 9월 16일부터는 기본료를 1천원 인하하고 매달 문자메시지 50건을 무료로 제공하는 방안을 시행했다. 다른 통신사들도 이와 비슷한 요금 인하 정책을 올해 11월부터 순차적으로 시행한다고 밝혔다.

기본료 1천원 인하… 소비자는 아직 배고프다

통신사들은 이번 요금 인하 방안을 통해 소비자에게 연간 2천4백69억원(LGU+ 추산)에서 4천8백40억원(KT 추산)의 통화료 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막상 뚜껑을 열자 소비자들의 반응은 미지근했다. 무엇보다 기본료 1천원 인하와 무료 문자메시지 50건 제공이 소비자의 기대에 크게 미치지 못다.

시민단체들은 이동통신사들의 연 매출액 가운데 기본료 수익이 약 36~50%나 된다는 점을 근거로 현재 최소 약 1만2천원 수준의 기본료를 절반 이하로 낮춰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문자메시지도 20원은 폭리에 가깝다며 원가를 공개하라고 주장해왔다.

맞춤형 요금제, 절감 효과 있다?

이번 요금 인하 방안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맞춤형 요금제의 실효성을 두고서도 말이 많았다. 실제 효과를 따져보기 위해서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SNS를 이용해 소비자 1백80명 요금제의 사용 현황을 설문조사했다.

응답자 중 4만5천원(4만4천원) 요금제를 사용하는 소비자는 50명(27.7%)이었다. 이들 중 주어진 음성통화 200분을 다 사용하지 못하고 남기는 소비자는 29명(58%)이었는데, 이들은 평균 63분을 남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달 150분 미만의 음성통화를 사용하는 셈인데, 이들이 맞춤형(SKT 기준) 음성통화 150분(2만8천원)과 데이터 500MB(1만원), 문자메시지 200건(3천원)을 선택한다면 요금을 4만1천원까지 낮출 수 있다. 50건의 무료 문자만 사용하고 별도 문자메시지 요금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3만8천원까지 낮출 수 있다.

인터넷 사용 많은 젊은 소비자는 “별로”

응답자 중 5만5천원(5만4천원) 요금제 사용자는 85명(47.2%)이었다. 이들 중 주어진 음성통화 300분을 다 사용하지 못하고 남기는 소비자는 45명(52.9%)이었는데, 이들은 평균 117분을 남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달 200분 미만의 음성통화를 사용하는 셈인데, 이들이 맞춤형 음성통화 200분(3만3천원)과 데이터통신 1GB(1만5천원), 문자메시지 200건(3천원)을 선택한다면 요금은 5만1천원으로 낮출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통신을 2GB(1만9천원)로 선택하면 요금은 5만5천원이다. 기존 5만5천원 요금제가 월 300분의 음성통화와 무제한 데이터 통신을 제공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굳이 맞춤형 요금제로 바꿀 이유가 없다는 의미다.

특히 맞춤형 요금제에 데이터 무제한 요금이 없기 때문에 무선인터넷 사용이 많은 젊은 소비자는 여전히 기존 정액요금제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

설문에서도 1백80명 중 98명(54.4%)이 무제한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5만5천원 이상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었다. 데이터 무제한이 아닌 요금제를 사용하는 소비자 중에서도 27명(15%)은 데이터를 모두 사용하거나 다 쓰고도 모자란다고 답했다.

맞춤형에 불리한 할인 제도, 오히려 손해

통신사의 할인제도 적용이 맞춤형 요금제에 불리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효과는 더욱 미미해진다. SKT의 경우 4만4천원(기존 4만5천원) 요금제를 사용하는 소비자에게는 ‘스페셜 할인 제도’를 통해 매달 1만5천9백50원씩 36개월 동안 요금을 할인해준다.

그러나 만약 4만4천원 요금 사용자가 맞춤형 요금제를 통해 4만1천원으로 요금을 낮추게 되면 할인금은 1만2천1백원으로 줄어든다. 요금제는 3천원 저렴해졌지만, 할인금이 3천8백50원이 줄어 결국은 손해인 셈이다. 할인 적용 구간이 기존 정액요금제에 맞춰져 있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게다가 기존 정액요금제의 스페셜 할인 기간은 36개월인 반면, 맞춤형 요금제의 할인 기간은 24개월로 12개월 짧다.

똑같이 4만4천원 이상(5만4천원 미만)의 요금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기존 정액요금 사용자는 36개월 동안 모두 57만4천2백원을 할인 받지만, 맞춤형 요금제 사용자의 총 할인 금액은 24개월 동안 38만2천8백원으로 훨씬 적다. 3년 이상 장기간 사용자라면 19만1천4백원 손해 보는 셈이다.

소비자 요금 절감할 수 있는 ‘진짜’ 인하 방안이 필요

이런 점을 고려하면 맞춤형 요금제는 일부 사용자에게는 어느 정도 요금 인하 효과를 줄 수 있지만 실제로는 효과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번 요금 인하 방안은 소비자 입장에서, 소비자에게 실제로 요금 절감 혜택을 주도록 설계됐다기보다는 요금 인하 여론에 떠밀려 구색 맞추기로 만들어졌다는 인상이 강하다. 업계가 몇천억원의 절감 효과가 있다고 호들갑을 떨면서 발표한 요금 인하 방안에 소비자가 시큰둥한 이유일 것이다.

반응형